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삼성전자 배당주 장기투자 전략

by 긍정왕 박포모 2022. 11. 21.
728x90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업을 떠올려 보자면 '삼성전자'가 아마 가장 먼저 떠올르실 겁니다. 2000년부터 코스피 1등 기업이자 여러 가지 이슈로 아마 뇌리에 박힌 게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삼성전자 주식을 장기 투자해서 배당금을 받는 방식의 투자 전략이 옳은가? 에 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업의 가치보다 저렴하게 사고 투자를 시작했다면 오랜시간 투자하자.

장기투자를 통해 부를 이루는 방법은 생각보다 아주 심플하고 간단하며 초보자도 할 수 있는 투자 전략입니다. 그 때문에 어려운 주식을 꼭 공부해서 해야 하나 하는 의문이 있는 사람들은 장기투자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삼성전자 주식을 꾸준하게 모아온 택시기사분의 이야기가 화재가 된 적이 있습니다. 정말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국내 1등 기업에 어떤 일이 있어도 본인이 정한 일정 금액과 기간을 두고 꾸준하게 투자해온 건데요. 이 처럼 어렵지 않은 방법으로도 충분히 우리는 부를 이룰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는 걸 보여준 기사였습니다.

 

당연히 이 글을 쓰는 저도,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우리가 만약 2006년 회사를 입사하고서 부터 삼성전자에 투자했다면 어떤 일이 있을지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간은 15년을 잡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전자 우 투자 시뮬레이션 2007년~2021년
연도 원금 삼성전자우 기말종가 매수 수량 주당 배당금 배당 총액
2007 10,000,000 8,560 1,168 160 186,916
2008 10,000,000 5,160 1,938 110 341,683
2009 10,000,000 10,500 952 160 649,374
2010 10,000,000 12,980 770 200 965,801
2011 10,000,000 13,340 750 110 613,649
2012 10,000,000 17,040 587 160 986,478
2013 10,000,000 20,260 494 286 1,904,494
2014 10,000,000 20,780 481 400 2,856,120
2015 10,000,000 21,820 458 420 3,191,410
2016 10,000,000 28,660 349 570 4,530,083
2017 10,000,000 41,800 239 850 6,958,736
2018 10,000,000 31,750 315 1,416 12,038,420
2019 10,000,000 45,400 220 1,416 12,350,315
2020 10,000,000 73,600 136 2,994 26,520,383
2021 10,000,000 71,200 140 1,444 12,993,535
150,000,000   8,998   87,087,398
  • 투자기간 : 2007년 ~ 2021년, 15년
  • 투자원금 : 1.5억 원, 매년 천만 원 x 15년
  • 매수수량 : 8,998주, 매년 기말 종가 매수 기준
삼성전자우 투자 시뮬레이션 결과 2007년 ~ 2021년
투자 수익률 : 200%

투자금 1.5억 (매년 천만원 x 15년)
2021년 기준 가치 : 4.5억 (51,400원 x 8,998주)
투자금 배당 수익률 : 8.7%

투자금 1.5억 (매년 천만원 x 15년)
21년 배당금 : 13백만원 (1,444원 x 8,998주)
2007년 ~ 2021년 누적 배당금 : 87백만원

투자금 1.5억의 58%, 배당금으로 회수

 

  • 투자 수익률 : 200%

 

2022년 11월 21일 삼성전자우 종가 기준 57,100원 매수수량 8,998주를 곱하면 2021년이 아닌 2022년 현재 기준으로의 자산가치는 513,785,800원입니다. 투자 원금이 1.5억이니 실제로는 250% 가까운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배당 수익률 : 투자 원금 대비 8.7%

 

2021년 주당 배당금은 1,444원 입니다. 총 8,998주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배당금은 약 13백만 원이 됩니다. 투자금이 1.5억이니 투자원금 대비 배당률은 8.7%입니다.

 

  • 2007년 ~ 2021년 누적 배당금 : 87백만 원

 

지난 15년간 받은 배당금의 총합은 87백만 원의 투자금으로 1.5억의 58%를 회수했습니다. 5년 후에는 투자금 1.5억을 모두 배당금으로 회수하고 수익률이 무한대의 영역까지 들어가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1등 기업에 투자하는 투자 전략
시가총액 1등 주식에 장기 투자
삼성전자는 2000년 부터 코스피 시총 1위 기업
2000년 3,160원
2022년 57,100원 (약 18.4배 상승)
애플 2012년 부터 S&P500 시총 1위 기업
2012년 19달러
2022년 151달러 (약 8배 상승)

위 도표에서 보듯 흔들리지 않는 꾸준한 투자의 결과물의 결과물입니다. 매년 천만 원으로 적립식 투자를 한다면 최소한 노후준비는 물론이고 결혼을 했다면 자녀의 미래까지 책임져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배당금을 받아서 재투자하면 복리효과까지 겹치게 되면서 더욱 큰 결과물을 도출해 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복리의 마법이라는 말 들어보셨죠? 단, 이런 장기적인 투자를 결심하셨다면 중간에 주가가 떨어지든 경제가 흔들리든 주변에서 빨리 팔라고 보채든 눈 감도 귀 닫고 본인이 설정한 목표 기간이 될 때까지는 절대 팔지 말고 진행해야 합니다.

 

10년 주기로 경제위기가 찾아온다고 합니다. 오히려 그런 때는 내가 들고 있는 주식이 떨어졌다고 낙심하기보다는 더 싸게 살 수 있는 기회라고 여기셨으면 좋겠습니다.

 

글을 마치며..

 

투자란 부동산이 됐든 코인이 됐든 주식이 됐든 본인의 성향에 잘 맞아야 지치지 않고 혹은 내 자산을 잃지 않고 꾸준히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장기투자가 본인과 맞다고 생각이 든다면 주저하지 마세요. 그리고 흔들리지도 마세요. 흔들리고 내 종목을 불신하는 순간 장기투자는 무너지게 돼있습니다. 다른 종목으로 하면 된다고요? 다른 종목에서는 안 그럴 수 있다고 장담할 수 있나요? 기왕 지사 진행하게 된다면 죽이됐든 밥이 됐든 끝까지 한번 실행해보고 결과물을 지켜보는 게 어떨까요?

 

끝.

 

 

<함께 보면 좋은 글>

 

월급쟁이 직장인 순자산 10억을 만드는 비결

주변 사람들 중에 순자산 10억 이상 있는 사람을 몇 명이나 알고 계신가요? 바로 딱 떠오르는 사람이 있나요? 아마 우리 부모님 세대의 사람을 제외하면 거의 없을 거라 생각됩니다. 성별을 떠나

fomo1.tistory.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