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삼성자산운용 KODEX K-로봇액티브 설명

by 긍정왕 박포모 2022. 11. 27.
728x90

내년 최저시급은 5% 인상된 9620원으로 올해 6월에 확정되었습니다. 서민 근로자의 입장에서는 당연 환영할만한 일이지만 직원을 고용해야 하는 기업과 소상공인 사장님 분들에게는 충격으로 다가왔을 텐데요. 과거 10% 이상의 최저시급 상승으로 많은 일들이 흘렀고 그로부터 벌써 4,5년가량이 흘렀습니다.

 

최저시급이 급격히 상승하고 그로인해 점점 우리는 사람으로 운영되던 기업과 상점들이 이제는 점점 로봇, AI으로 운영과 고용방식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로봇으로 운영한다면 매년 오르는 최저시급을 걱정할 필요도 없고, 생산성 또한 올라가며 사람의 고용으로 지켜야 하는 근로기준법도 따를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이제는 로봇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많은 실험적인 시도가 많아지고 있는 시대입니다. 이 시점에 삼성자산운용사가 로봇 ETF를 최근 발행하였는데요. 이 상품은 투자가치가 얼마나 있는지 어떤 상품인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KODEX K-로봇액티브 상품설명
  • 투자 가치 판단
  • KODEX K-로봇액티브 구성종목
  • 로봇 ETF 투자 전략

KODEX K-로봇액티브 상품설명

KODEX K-로봇액티브 
기초지수명 iSelect K-로봇테마 지수
최초설정일/상장일 2022년 11월 10일 / 2022년 11월 15일
펀드형태 수익증권형
총보수 0.50%
분배금기준일 1월, 4월, 7월, 10월
자산운용사 삼성자산운용
주당가격 10,495원
시가총액 220억
상장주식수 2,100천주

삼성자산운용에서 이번에 발행한 로봇 ETF입니다. 요즘과 같이 고용이 줄고 기업과 상인들의 로봇의 활용도를 도모하는 때에 삼성자산운용에서 발 빠르게 출시한 상품입니다. 발행하고 기간이 1년도 지나지 않아서 수익률에 관련된 데이터는 아직 쌓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로봇의 성장성을 생각하면 지금부터 조금씩 담아가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투자 가치 판단

 

로봇은 미래 먹거리인가?

  • 로봇의 활용에 대한 실험이 계속 되는중
  • 일본의 키엔스, 화낙, SMC, 레이저텍 생산로봇 기업 가치 빠르게 상승
  • 세계적인 저출산 문제로 인해 생산 가능 인구 감소로 로봇이 대체될 가능성이 높음
  • 생산 로봇 외에 로봇, AI 등의 발전 속도 가속화
  • 이미 상당수의 직업군이 미래에 로봇으로 대체되어 사라진다는 논문이 있음

여러 가지 미래의 상황을 예견해볼 때 로봇이 인간을 대체하는 상황에 놓인다는 건 기정 사실화되어가는 것 같습니다. 산업화의 변화뿐 아니라 우리 생활에 직간접적인 로봇의 잠식은 예견돼 있는 상황이고 그렇다면 아직까지 로봇의 발전이 체감되지 않는 지금이 투자자로서 미래 가치를 선점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미 오래전부터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로 인해 일본은 이미 로봇 기술발전에 꽤나 큰 진척이 있었습니다. 생산인구 감소 문제를 생산 로봇으로 대체하는 실험을 하였고 이는 성공적이었으며 글로벌 산업용 로봇 45%를 장악하고 있고 로봇을 생산하는 기업의 가치는 날로 높아져만 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테슬라에서 인간형 로봇을 선보였고 무인택시, 배달 로봇, 드론 택배, 서빙 로봇 등 많은 로봇 테스트기를 거치고 있습니다. 불과 몇 년 전만 하여도 "로봇은 결국 로봇이지, 사람이 낫다"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실제 많은 부분에서 로봇에 대한 의지도가 높아만 가고 있습니다.

 

KODEX K-로봇 액티브 펀드 구성종목

 

출처 : 네이버 금융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 아직 상장한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대략적인 구색은 갖춰진 거 같습니다. 두산이 두 번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게 눈에 띄는데요. 두산의 자회사 중엔 국내 대표 로봇기업 '두산 로보틱스'가 있습니다. 그리고 로보티즈와 레인보우 로보틱스가 있는데 국내 주식 시장에서는 대표적인 로봇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보유비중이 가장 큰 삼성전자는 올해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이 가정 내 1인 1 로봇 시대를 준비 중이라는 발언을 했을 정도로 알게 모르게 로봇에 진심인 편입니다. 실제 삼성 리서치 내에 로봇센터를 설립하여 핵심기술 연구와 기술 확보를 위해 진행을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로봇 ETF 투자 전략

 

로봇의 발전은 진행형이고 앞으로 기술적으로도 계속되는 눈에 띄는 성장을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산업과 일상에 로봇이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오는 현상이 발생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런 때가 도래하고 난 뒤에 투자하기보다는 아직 준비 중인 지금 로봇에 관련된 투자를 하는 게 좋다고 판단합니다.

 

하지만 우리 개미 투자자들은 어떤 종목이 미래 로봇 산업에 승자가 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옛날 테슬라 초기 진입으로 큰돈을 벌었다는 일화처럼 주인공이 되기보다는 ETF로 구성된 지수 추종 상품에 10년, 20년, 30년 장기적인 관점으로 꾸준히 모아간다면 분명 그것만으로도 충준한 수익률을 안겨줄 거라 생각합니다.

 

로봇 기술이 발전하는 동안에도 어떤 주식은 크게 오르고 어떤 주식은 상장폐지가 될지 우리는 아무도 모릅니다. 시장의 소음으로 이리저리 휘둘리기보다는 미래 산업인 만큼 장기적인 관점으로 꾸준하게 ETF 상품을 매수해 나가는 게 좋을 거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물론 저도 1주, 2주씩이라도 모아갈 생각입니다.

 

글을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삼성자산운용사에서 발행한 KODEX K-로봇 액티브 ETF 상품에 관해 한번 알아보았는데요. 글을 쓰기 위해 자료를 취합하고 여러 기사들을 읽어보니 저 또한 로봇 ETF 상품에 관심이 크게 생겨버리고 말았네요. 투자자라는 자부심은 항상 있었음에도 현재의 주식 시장만을 바라보던 습관을 반성하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가치투자를 하는 거처럼 미래산업의 가치 또한 생각하여 좋은 투자를 해야겠습니다. 이 글을 읽는 분들 또한 미래에는 어떤 것이 대세가 될지 시류를 읽는 눈을 키우셔서 좋은 투자를 할 수 있기를 기원하겠습니다.

 

끝.

 

 

<함께 보면 좋은 글>

 

국내 상장 메타버스 ETF KODEX K-메타버스 액티브

이번 글에서는 국내 주식으로 구성된 메타버스 ETF에 대해서 한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메타버스 하면 곧 미국을 떠올리시는 분들이 계실 텐데요. 저도 사실 의문이기는 했습니다. 상품

fomo1.tistory.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