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미국 ETF 중에서 금융 관력 섹터만 선택하여 묶여있는 XLF 스파이더 금융 셀터 ETF 상품을 소개해보겠습니다. 요즘 국내에서는 금리인상등의 이유로 금융지주사들의 수익이 막대하여 큰 성과를 내고 있는데, 미국 금융 ETF는 투자할만한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XLF ETF란 무엇인가?
- 선정기준과 보유종목
- 최대 손실 구간
- 보유비중 상위 5개 기업 정보
- XLF 적립식 장기투자
XLF ETF란 무엇인가?
XLF ETF는 미국 금융주에 투자하는 ETF 상품입니다. 주로 S&P 500에 포함되어 있는 대형 금융주에 투자하는 형식인데, 미국은 금융이 다른 산업을 주도적으로 이끄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 금융산업에 투자하는 것은 다른 대형 기업에 투자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미국 금융사 ETF XLF 주요정보 | |
발행처 |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 스테이트 스트리트 |
발행일 | 1989년 12월 16일 |
운용보수 | 0.10% |
시가총액 | 41.7조원 / $33.6B |
영문명 / 티커 | Financial Select Sector SPDR Fund / XLF |
배당률(연) | 1.92% |
선정기준과 보유종목
선정기준
- S&P 500 인덱스 구성 종목 중 금융분야와 관련된 회사에 투자함
세부 산업분야: 보험/insurance, 은행/banks, 자본시장/capital market, 모기지형 부동산투자신탁/mortgage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REITs), 소비자금융/consumer finance, 저축회사/thrifs, 모기지 금융/mortgage finance - S&P500 구성종목에서 투자종목 선정
- 시가총액 방식으로 편입비중 선정
보유종목
- 총 보유종목 수: 70개
- 상위 10개 종목 비중: 53.25%
- 상위 30개 종목 비중: 82.74%
상위 10개 종목 티커 / 비중 퍼센트 | |
BRK-B | 14.64% |
JPM | 10.42% |
BAC | 6.13% |
WFC | 4.16% |
SCHW | 3.24% |
GS | 3.19% |
SPGI | 3.12% |
MS | 3.04% |
BLK | 2.89% |
C | 2.42% |
보유종복 상위 5개 기업 정보
버크셔해서웨이 / BRK-B
워런 버핏(Warren Buffett)이 1965년 섬유회사인 버크셔해서웨이를 매입해 투자 지주회사로 바뀌었습니다. 가이코, 제너럴리, 시즈캔디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습니다. 그 외 아메리칸익스프레스, 코카콜라, 질레트, 워싱턴포스트 등에 상당한 지분을 투자하고 있으며 IT 기업인 애플, IBM, 아마존 등에도 투자하고 있습니다.
제이피모건 / JPM
제이피모선은 전세꼐적인 금융 서비스 회사로, 미국에서 가장 크고 복잡한 금융 기관 중 하나이며, 자산은 2조 5천억 달러가 넘을 정도로 규모가 큰 금융 기업입니다. 소비자 및 커뮤니티 뱅킹(CCB), 기업 및 투자 은행(CIB), 상업 은행 자산 관리(CB)라는 세 부문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또한 자산 관리자를 위한 다중 자산 포트폴리오 분석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프로 투어 스탯(StatPro Group plc)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습니다. 1799년에 설립되었으며 본사는 미국 뉴욕에 위치해 있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 BAC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미국에서 가장 큰 금융 기관 중 하나이며 2조 3천억 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회사를 통해 개인 소비자, 중소기업, 기관 투자자, 대기업 및 전 세계 정부에 은행 및 금융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소비자 대상의 비즈니스 라인 중에는 지점 및 예금 운영 네트워크, 주택 담보 대출, 차량 대출,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소기업 서비스등이 있습니다. 1874년에 설립되었으며 노스 캐롤라이나주의 살럿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웰스파고 / WFC
미국의 다국적 금융 서비스 기업으로, 약 1조 9천억 달러의 자산을 보유한 자산 기준 미국에서 4번째로 큰 은행입니다. 시가총액으로는 미국 최대이며, 2019년 기준 미국에서 29번째로 큰 기업이기도 합니다. 커뮤니티 뱅킹, 도매 금융, 자산 및 투자 관리 등 3개의 사업 부문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본사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해 있지만 미국 전역으로 여러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찰스슈왑 / SCHW
온라인 투자 전문업체로, 자산관리, 증권중개, 금융, 자산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사업 부문은 투자자 서비스(Investor Services)와 어드바이져 서비스(Advisor Services)로 구분됩니다.
위 다섯개의 기업의 비중은 전체 구성 기업 중 38.59%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글로벌적으로 유명한 금융사들이며 특히 14.64%를 차지하고 있는 버크셔해서웨이 대표적입니다. 국내에서는 워런버핏의 회사로 이미 많이 알려 저 있고, 현재와 같은 글로벌 경기가 좋지 않은 때에도 좋은 수익률을 기록 중인 기업 중 한 곳이기도 합니다.
최대 손실 구간
1차 손실
- 최대손실률: -8,268.00%
- 최대손실 시작일: 2007년 06월 01일
- 최대손실 종료일: 2009년 03월 06일
- 최대손실 시작일 종가: $22.42
- 최대손실 종료일 종가: $3.88
- 2007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로 주식폭락
2차 손실
- 최대손실률: -4,286.00%
- 최대손실 시작일: 2020년 02월 14일
- 최대손실 종료일: 2020년 03월 23일
- 최대손실 시작일 종가: $29.24
- 최대손실 종료일 종가: $16.71
- 2020년 2월, 코로나로 인한 주식폭락 시작
XLF 적립식 장기투자
해당 금융 ETF인 XLF를 만약 발행 후 지금까지 적립식으로 꾸준하게 일정금액 투자를 했다면 손해였을지 수익이었을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무래도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유명한 기업들이기 때문에 손실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해당 백테스트는 세금 부분은 제외한 단순 계산이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1998년 말에 발행된 XLF를 올해 1월까지 꾸준하게 매달 50만원씩 적립식으로 투자했을 때의 수익률입니다. 원금대비 130.89%라는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고 연평균 4.50%의 수익을 거의 25년 동안 꾸준하게 내주었습니다. 혹자는 해당 수익률이 낮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개인이 본인이 직접 투자를 통해 25년간 매년 1%의 수익률은 낼 수 있는가에 대해 생각해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물론 해당 ETF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자랑하는 ETF 상품들도 많습니다.
과거의 수익률이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니 어디까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해당상품이 이렇게 꾸준한 상승을 해준다면 투자자 입장에서 나쁜 상품은 아니다. 정도로만 정리하겠습니다.
참고
지금까지 미국의 금융ETF 상품인 XLF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위 서술한 내용들은 참고용이며 투자에 있어서는 본인이 더 세심하게 관찰하고 분석하여 투자하시길 권합니다. 투자에 있어 제1 원칙은 돈을 잃지 않는 것이니 말입니다.
끝.
<함께 보면 좋은 글>
해외ETF WGMI 발키리 비트코인 마이너, 완벽분석
이번 글에서는 2022년 한 해 많은 사건과 사고가 있었던 비트코인 관련 ETF인 WGMI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에서 대표적이며 대중에게 잘 알려진 최초의 코인 '비트코인' ETF
fomo1.tistory.com
댓글